※해당 게시글 내용은 Mac OS 위주로 진행되므로 Windows에서는 조금 다를 수도 있습니다.
이 글을 보는 사람이라면, 대충 Github 에서 아이디 정도는 만들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깃허브 아이디가 있다고 가정하고, 글을 써나갈 예정이다. (없다면, 만들기 쉬우니 어서 가서 만들자)
그 전에 내 컴퓨터에 git 도 설치가 되어 있어야 하는데,
터미널(cmd 창)을 열어서 git --version
커맨드를 입력해보자.
다음과 같이 버전이 나온다면, 패스
깃이 깔려있지 않다면,
git 다운로드 에 가서 다운을 받으면 된다.
아무튼 현재 시점에서 우리는 git, github ID 를 가지고 있다.
간단하게 설명하는 Git, Github의 차이
Git
버전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distributed version control system 이라고 하는데,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비용을 지불하지 않아도 되고, 내 파일을 관리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 이 Git의 핵심 기능은 폴더 내 모든 파일들의 변경 사항들을 알아서 추적해준다.
Github
우리의 Git 파일, Git 변동 사항들을 업로드해주는 저장소이다.
Cloud Git Provider 라고 한다.
- 이 Github를 통해서 당신의 파일을 공유하고, 다른 사람들과 협업을 할 수 있다.
Github Desktop 설치
깃허브를 시작하려고 검색을 해보면 우선 여러 명령어들에 우선 부딪힌다.git add
git clone ....
git remote ...
사실 지금 깃이 뭔지도 잘 모르겠는데, 명령어도 외워야 하고 심지어는 저 명령어가 뭐하는 건지도 잘 모르겠고..
처음 이 것들을 접했을 때 많이 당황했던 기억이 있다.
그리하여 나와 같은 초심자를 위해 명령어를 몰라도 깃과 깃허브를 다룰 수 있는 어플을 소개하고자 한다.
홈페이지에서 내 OS에 맞게 다운로드 한다.
여기까지 잘 왔다면 이제 Github repository
(깃허브 저장소)를 만들러 가보자.
우린 앞으로 이 저장소를 통해 내 프로젝트를 관리할 것이다!
깃허브 repository 만들기
깃허브 접속 을 눌러 깃허브에 접속하고,
좌측 상단에 있는 New 버튼을 누른다.
Owner : 내 계정
Repository name : 생성할 저장소(프로젝트) 이름
Description : 저장소(프로젝트)에 대한 간단한 설명
Public / Private : 공개 여부인데, 딱히 비밀로 할 필욘 없으니 Public으로 해주고
Create repository 버튼을 누른다.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뜬다면 깃허브에서 프로젝트를 만드는데 성공
사실 Quick setup 란에 어떻게 사용하는지 아주 친절하게 설명이 되어 있지만,
우리는 Github Desktop을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다시 Github Desktop로 가보자.
본격적으로 Github Desktop를 사용해보자
다음의 Clone a Repository from the internet.... 을 누른다.
방금 생성한 github-study 저장소를 내 컴퓨터로 복사할 건데,
Local Path
는 어디에 저장할지 경로를 의미하므로 찾기 편한 위치를 지정하면 된다.
생성을 하고 나면, 아래의 화면이 보이는데,
내 컴퓨터에서 위에서 설정한 Local Path
위치로 가면 github-study 라는 폴더
가 있다.
이 폴더 github-study를 본인이 사용하는 text editor로 띄워준다.
필자는 Visual Studio Code를 사용하기 때문에 VSCode에서 띄워봤다.
그리고 폴더 안에서, 테스트를 위해 test.txt 파일을 생성하고 내용은 아무거나 적어보자.
그리고 github desktop으로 이동
1. github desktop이 폴더 내 변경사항을 바로 보여준다.
2. 커밋 제목을 의미한다. 이 변경사항이 어떤 내용인지를 암시할 수 있도록 작성하면 좋다.
3. 커밋에 대해 보충설명을 입력하면 되는데,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
※커밋이 뭐냐면, 간단하게 내가 어떤 일을 열심히 하고서 여기까지 했다! 하고 점을 찍은 것이라고 생각하자.
즉 커밋이란 "시점"을 의미한다.
아무튼 입력할 내용을 입력하고, commit to master 버튼을 눌러준다.
그럼 이렇게 내용이 사라지고 publish branch
버튼이 활성화된다.
이 버튼을 누르기 전까지는, commit만 된 상태
(아직 Github의 저장소에 내 변경사항들이 반영되지 않은 상태) 이다.
버튼을 누르면 3초정도 시간이 소요되고, Github 저장소로 변경사항이 적용된다.
이제 우리 Github의 github-study 저장소로 이동해보자.
이렇게 Github Desktop을 이용해서 직접 명령어를 입력하지 않고 Github에 publish 까지 진행해봤다.
마치며
이 것을 터미널을 열어서 직접 하려면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유저아이디/저장소이름.git
// 현재 내가 위치한 폴더에 깃허브 저장소 주소를 연결해준다.
git add 파일명 // ex -> git add .
// 커밋하고 싶은 파일 이름을 넣어주거나, 모든 변경사항을 커밋하려면 . 키워드를 넣어준다.
git commit -m "커밋 메시지"
// 커밋하기
git push origin master
// github에 publish(push) 하기
이런 요상하고 복잡한 작업들을 거쳐야 한다.
깃과 깃허브를 다뤄보고 싶은데 아직 시작을 못한 사람의 입장에서는
처음부터 이상한 명령어나 개념도 많고 어려워 보일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빠르게 직관적인 UI를 통해 우선 깃과 깃허브에 발을 담궈보는 것도 매우 좋은 방법인 듯 하다.
사실 이렇게 접근해서 발을 담구고 나면, 이제 궁금한 것들도 엄청 생기게 된다.
그리하여 앞으로 Github Desktop을 이용해서 깃과 깃허브를 다루다 보면 궁금해지는 내용에 대해서도 포스팅을 해 볼 생각이다.
'Git &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mmit] 과거 커밋으로 돌아가서 새로운 브랜치(분기) 만들기 (0) | 2022.06.07 |
---|---|
[git] git 명령어 (0) | 2021.07.24 |
[git] 깃이란? (0) | 2021.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