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스트리
소스트리는 Git GUI 툴이다.
이전 포스팅 중에, Github Desktop을 다룬 글도 있는데 이 역시 Git GUI다.
-> 깃헙 데스크톱은 처음 깃을 접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했다.
깃 커맨드에 대해 조금 공부하고 나서는 그냥 cli에서 깃 명령어를 사용했었는데
이번에 소스트리를 접하게 되었고, 소스트리가 궁금해서 우선 설치했다.
현재 private 저장소를 이용해 프로젝트를 수행중인데,
소스트리의 기본 Oauth를 이용하면 public 저장소만 보이기 때문에, private 저장소를 가져오는 방법에 대해 정리하였다.
소스트리 설치
Sourcetree | Free Git GUI for Mac and Windows
A Git GUI that offers a visual representation of your repositories. Sourcetree is a free Git client for Windows and Mac.
www.sourcetreeapp.com
그냥 눌러서 다운 받으면 된다.
깃허브 연결
깃허브 저장소를 연결하려면, 소스트리 - Preference(설정) - 계정 에서 내 깃헙 계정을 추가해준다.

계정 탭에서,
호스트를 Github로 바꾸면 인증방식이 기본적으로 Oauth로 지정된다.
여기서 계정 연결로 github 연결을 진행하도록 안내된다.
다음과 같은 화면으로 넘어갈 것인데, 문제는 Public data only 라는 부분이다.
하지만 private 저장소가 필요하기 때문에 찾아보다가 좋은 글을 발견했다.
1. 깃허브 액세스 토큰 가져오기
Can't clone private repo on github from SourceTree
A similar issue is described here however, my symptoms are a little different and none of the steps there seemed to work. Nor does the suggestion here work. I'm attempting to use SourceTree to cl...
stackoverflow.com
게시글에 담긴 절차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 깃허브 홈페이지에서 계정 로그인
- 오른쪽 위에 메뉴에서 Settings 클릭
- Settings 탭에서 DEVELOPER SETTINGS 클릭
- PERSONAL ACCESS TOKEN 클릭
- GENERATE NEW TOKEN 클릭
- Note 부분에 sourcetree라고 적고 모든 체크박스를 체크해준다.
- 페이지 아래에서 Generate Token 을 누르면 액세스 토큰이 생성된다.
위의 절차를 진행하면 아래 사진과 같이 생성된 액세스 토큰을 보여준다.
이 토큰을 현재 화면에서 벗어나면 다시 볼 수 없다.
따로 저장해두길 권장한다.
2. 토큰을 이용해 소스트리에 계정 등록하기
다시 소스트리 앱으로 돌아가서,
인증 방식을 Oauth -> 베이직으로 변경하고 아래 정보를 입력한다.
사용자 이름 : 내 깃허브의 사용자 이름
암호 : 방금 발급받은 액세스 토큰
을 입력해주면 내 계정이 등록된다.

깃허브 계정이 등록되면 소스코드에서 원격 저장소에서, private 저장소를 포함한 모든 저장소를 볼 수 있다.
이제 원격 저장소(Github)는 등록이 되었다.
로컬 저장소(내 컴퓨터 폴더)를 등록하고, 열심히 작업해서 프로젝트를 관리해보자.